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생성AI] 챗GPT는 AGI인가? 오픈AI가 꾸는 꿈은 아직...

초심자를 위한 AI/AI가 뭔가요?

by GAI.T & a.k.a Chonkko 2023. 11. 30. 00:13

본문

챗GPT는 AGI인가?

 

오픈AI의 챗GPT라는 생성형 AI계의 스타는 범용인공지능 AGI를 꿈꾼다. 오픈AI의 설립 목적에도 AGI가 명시되어 있다. 

2022년말 혜성같이 등장한 챗GPT가 사람처럼 너무 말을 잘 알아듣고 잘 대답하다보니 혹시 챗GPT가 AGI가 아니냐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었다.

 

결론부터 말하면 가장 최신형의 챗GPT (GPT-4 Plus)도 아직까지는 AGI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수준이라는 것이 최근 구글 딥마인드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대충 말해 AGI가 뭐지?  

 

AGI (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는 우리말로는 범용인공지능 또는 일반인공지능 정도로 번역된다. '대충 말하자면' 어느 한 분야만 사람같은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사람같은 지능 수준을 보여주면 AGI라고 할 수 있다. 어느 한 분야만 사람같은 수준의 AI는 알파고가 대표적인 예로, 알파고는 바둑 만큼은 이세돌도 이기지만 말을 잘하지도, 그림을 잘 그리지도 못하는 좁은(narrow) 의미의 인공지능이다.  

 

사실 AGI라고 부르려면 AI가 어떤 수준에 이르러야 하는지 명확한 답이 있는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대부분 우리는 막연하게 AGI는 AI가 인간 수준에 이르면 그게 AGI인가보다 이렇게 대충 생각해왔다. 일단 AGI는 워낙 먼 얘기인 줄 알았으니 이렇게 대충 이해해도 문제가 없었다. AI도 이해하기 복잡한데, AGI까지 생각할 여유도 없었던 것이다.

 

그런데 막상 아무거나 다 잘 하는 것 처럼 보이는 챗GPT가 등장하니 이제는 좀 더 정확하게 AGI를 정의내릴 필요가 생겼다. 사람들이 자꾸 챗GPT가 AGI냐고 물어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좀더 정확히 AGI가 뭐야?

 

인공지능 분야의 최고 전문가 집단 구글 딥마인드 팀이 AGI를 좀 더 정확하게 말하기 위해 최근 (2023.11.4) 논문 하나를 발표했다. 논문 제목은 "AGI의 단계 : AGI를 향한 운영 현황 ( Levels of AGI: Operationalizing Progress on the Path to AGI)" 으로 AGI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꼭 읽어보시길 바란다. 

 

구글 딥마인드팀은 이 논문에서 AI의 '범위'와 '수행능력' 두 가지 기준을 조합해서 AGI의 단계를 구분하려고 시도했는데 나름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유용한 구분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범위 기준 : Narrow - General

위에서도 얘기한 것 처럼 명확하게 범위가 주어져 있는 임무(어떤 특정 분야의 임무)만 처리하면 좁은(Narrow) AI ( ANI) 이다.

 

만일 AI가 넓은 범위의 비물리적 (non-physical)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면 일반(General) AI (AGI)다. 특히 새로운 기술을 배우는 것 처럼 소위 메타인지 능력이 있는지 여부가 중요하다.

 

메타인지란 자기 인지에 대해 인지하는 능력, 즉 자기가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아는 능력이다. 사람이 아이때부터 배우며 성장하는 동력이라고 볼 수 있는 메타인지는 자기가 무언가에 대해 아는지 모르는지, 알면 얼마나 아는지, 모르면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 이런 것들을 생각할 수 있는 기반이다.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 공자의 '아는 것을 안다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 하는 것, 그것이 곧 앎이다.'라는 철학적 잔소리가 바로 메타인지를 지적한다고 보면 된다.

 

AI가 이런 철학적 잔소리를 이해하고, 사람이 어떤 임의의 임무를 부여하면 스스로 자기가 그 임무를 수행할 지식이 있는지, 지식이 없으면 어떻게 지식을 확보할지, 그래서 그 얻은 지식은 임무 수행에 충분한지 '스스로 알아서' 판단하고 배워 임무를 수행해낼 수 있으면 AGI라고 보자는 것이 구글 딥마인드 팀의 제안이라고 보인다. 

 

수행능력 기준 : Level 0 (No AI) ~ Level 5 (Superhuman)

 그런데 할 수 있는 임무의 범위가 넓건 좁건 실제로 그 임무를 잘 하냐 못 하냐는 또 별개의 문제다. 바둑판을 앞에 둔 사람이 있다고 하자. A는 바둑을 둬 본 적이 없지만 규칙은 잘 배웠고, B는 바둑을 배워 제법 많이 둬바서 바둑 좀 둔다는 친구들하고 두면 한 번은 이겼다 한 번은 졌다 하는 수준이고, C는 기원에서 정식으로 수련을 거쳐 승률이 90%는 되고, D는 기원의 프로들 중에서도 뛰어나 승률이 99%가 된다고 하자. 규칙만 막 배운 사람이나 승률 99%의 프로나 모두 바둑을 사랑하는 바둑인이지만 그렇다고 다 똑같은 바둑인은 아니다. 

 

AI도 마찬가지로 보자는 것이다.  딥마인드 팀은 그냥 AI (좁은 AI)이든 AGI(일반 AI)든 수행능력에 따라 레벨을 5단계로 나눠서 Level 0부터 Level 5까지 나눴다. 재미있게도 Level 0을 설정했는데, 이건 No AI, 즉 AI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래도 AI가 아닌 것부터 시작한다. 

 

Level 0 : No AI - AI라고 부를 수 없는 수준

Level 1 : 유망한 수준(emerging) - 숙련되지 않은 사람과 비슷하거나 조금 나은 수준

Level 2 : 능숙한 수준(competent) - 숙련된 성인 50%를 발아래 둔 수준

Level 3 : 전문가 수준(expert) - 숙련된 성인 90%를 발아래 둔 수준

Level 4 : 거장 수준(virtuoso) - 숙련된 성인 99%를 발아래 둔 수준

Level 5 : 초인 수준(superhuman) - 모든 인간을 뛰어넘은 수준  

 

범위와 수행능력의 조합

딥마인드 팀은 이렇게 범위와 수행능력 두 축으로 AI를 구분하여, ANI 5단계와 AGI 5단계를 아래와 같이 표로 만들었다. 

 

AGI 레벨 구분 표 (사진=arXiv) 출처 : AI타임스(https://www.aitimes.com)

 

 

표를 보면 우리가 잘 아는 시리나 알렉사는 능숙한 ANI, 알파고는 거장 수준의 ANI (거장 이세돌을 이겼으니 인정), 그리고 심지어 이젠 바둑, 체스, 장기 가리지 않고 인간을 이겨버리는 알파제로 같은 ANI도 등장한다.

 

그러나 AGI의 영역으로 가보면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바드, 메타의 라마2가 동등하게 유망한(Competent) AGI 수준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혹자는 겨우 유망한 수준이냐며 실망할 수도 있겠지만, 필자는 어떤 수준이든 AGI로 분류가 될 수 있다는 점이 오히려 놀라울 따름이다. AGI 즉 일반인공지능이라는 기술의 변곡점은 이미 넘어섰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변곡점을 넘기가 어렵지 일단 넘으면 기술은 분명 진보한다. 지난 과학기술의 역사가 이를 증명해왔다.

 

슈퍼휴먼 AGI ( ASI )가 도래한다면?

딥마인드 팀의 논문은 이러한 AI의 수준을 구분하면서 최종 단계인 Superhuman AGI를 Aritifical Superintelligence 즉 ASI까지 바라보고 있다. Not yet achieved, 즉 아직 이루지 못한 단계이지만 언젠가는 이룰 가능성이 있는 단계다.

 

논문은 이러한 구분을 바탕으로 AI의 위험 또한 막연하게 다루지 말고 각 범위별, 수준별 맞춤형으로 접근해야한다고 제안한다. 현재의  챗GPT의 위험성에 대비한다고 ASI 단계에 가서야 나타날 위험을 이야기할 필요는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바둑판에서 알까기 하는 친구와 대적하기 위해선 상급 바둑 기술이 아닌 알까기 기술로 상대해야한다고 해야할까. AGI를 얘기하면 빠지지 않는 AI의 위험성과 관련하여 논문은 AI 윤리학자나 AI 거버넌스 전문가들에게 숙제를 남기고 있다.

 

글에는 다루지 않았지만 논문에는 지금 AI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 어떻게 가게 될지 전문가들의 눈으로 살펴보며 여러가지 함의를 던지고 있는 만큼, 관심있는 분들은 꼭 읽어보시길 추천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